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5천만원 증여세 계산
- 2022 수능 확정등급컷 등급
- 5천만원 증여세
- 간장질환 치료
- 외국 신발 사이즈표
- 5천만원 증여세 내야하나요
- 간장질환 증상
- 2022 수능 확정등급컷
- 미국 신발 사이즈표
- 간장질환
- 간장질환 진단
- 미국 신발 사이즈
- 간장질환 예방
- 2022 수능 확정등급컷 공개 발급·조회방법
- 2022 수능 확정등급컷 공개
- 5천만원 증여세 계산방법
Archives
- Today
- Total
생활정보
5천만원 증여세 본문
5천만원 증여세
성년의 자는 어머니로부터 증여를 받는 경우 10년간 5,000만원까지는 증여세가 없습니다.
다만 증여세가 없더라도 별도로 증여신고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.
제53조(증여재산 공제)
거주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금액을 증여세 과세가액에서 공제한다. 이 경우 수증자를 기준으로 그 증여를 받기 전 10년 이내에 공제받은 금액과 해당 증여가액에서 공제받을 금액을 합친 금액이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초과하는 부분은 공제하지 아니한다.
1. 배우자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: 6억원
2. 직계존속[수증자의 직계존속과 혼인(사실혼은 제외한다. 이하 이 조에서 같다) 중인 배우자를 포함한다]으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: 5천만원. 다만, 미성년자가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에는 2천만원으로 한다.
3. 직계비속(수증자와 혼인 중인 배우자의 직계비속을 포함한다)으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: 5천만원
4. 제2호 및 제3호의 경우 외에 6촌 이내의 혈족, 4촌 이내의 인척으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: 1천만원
대생략 할증세액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.
미성년자로 증여재산가액이 2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


다만, 증여자의 최근친인 직계비속이 사망하여 그 사망자의 최근친인 직계비속이 증여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
신고세액공제 및 납부세액공제
신고세액공제
- 증여세 과세표준을 신고기한까지 신고한 경우에는 적법하게 신고된 산출세액(세대생략 할증세액 포함)에서 공제세액 등을 차감한 금액에 신고세액공제율를 곱하여 계산한 금액을 공제합니다.* 신고세액공제율:’19년 이후 증여분 3%, ’18년도 증여분 5%
납부세액공제
- 해당 증여일 전 10년 이내에 동일인으로부터 받은 증여재산가액을 과세가액에 가산하는 경우 가산한 증여재산의 산출세액과 한도액을 비교하여 작은 금액을 납부세액으로 산출세액에서 공제합니다.
- 납부세액공제액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. : Min (①, ②)
- 1가산한 증여재산의 산출세액
- 2공제한도

납부세액박물관자료에 대한 징수유예공제
- 증여재산 중 박물관자료 또는 미술관자료로서 박물관 또는 미술관에 전시 중이거나 보존 중인 재산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재산가액에 상당하는 증여세액의 징수를 유예합니다.
- 징수유예세액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.

Comments